프로그래밍36 [Python 기초] 파이썬 타입 변환, 형변환 형변환이란 데이터의 형태를 변환하는 것이다. 실수로 변환하는 float, 정수로 변환 하는 int, 문자열로 변환하는 str의 타입변환에 대해 알아보자. # str(데이터) : 데이터를 문자열로 변환한다. >>> str1 = str(1) >>> str1 '1' >>> type(str1) # int(데이터) : 데이터를 정수로 변환한다. >>> number = int(1.1) >>> number 1 >>> type(number) # 단, 데이터가 숫자가 아닌 문자열을 경우 에러가 발생한다. 3. flaot(데이터) : 데이터를 실수로 변환한다. >>> float_number = float(100) >>> float_number 100.0 >>> type(float_number) # 단, 데이터가 숫자가 아.. 2021. 3. 30. [Python 기초] 파이썬 타입 함수 type()와 자료형(Data Type) 1 변수 타입 함수 타입 함수는 해당 데이터의 타입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함수이다.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. type(데이터) 변수명을 name으로 지정하고 "python"을 데이터로 저장해주자. 그리고 타입함수로 데이터타입을 출력해보면 다음과 같다. 2 자료형(Data Type) 데이터의 형태와 자료의 형태를 구분한다. 1. bool : 참,거짓 판별하는 자료형이다. (공백과 0은 False, 이외의 값은 존재의 의미로 true값을 갖는다.) >>> bool(0) False >>> bool() False >>> bool(299) True >>> bool("python") True >>> res = 10>> print(res) True >>> type(res) 2. 정수(int) : 소수점이 없는 숫자 >.. 2021. 3. 30. [Python 기초] 파이썬 변수(Variable) 1 변수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이다. 하나의 데이터(객체)를 저장하며, 객체가 저장된 주소를 가리킨다. 변수에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주소가 저장되는 것이다. 저장되는 주소는 0x로 시작하는 16진수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주소를 숫자로 기억하는데에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문자로 이루어진 변수로 접근한다. 또한 c나 java와는 다르게 데이터타입을 따로 적어주지 않아도 된다. 사용방법 데이터 저장방법은 다음과 같다. 변수명 = 값 이제 IDLE에서 여러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해 보자. >>> number = 7 >>> name = "python" >>> float1 = 1.1 tip 입력후에 결과가 나오지 않더라도 오류가 나지 않았다면 정상적으로 데이터가 저장된것이다. 이를 출력하려면 다음과 .. 2021. 3. 30. [Python 기초] 파이썬 print() 함수 (sep, end) print() 함수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해주는 역할을 한다. 출력 이후에 개행(New Line) 줄바꿈이 일어난다. print() 함수는 내장 함수로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함수이다. (자주색으로 표시) " , " ( 콤마 ) ","를 이용해 인수를 여러개 넣어줄 수 있다. 기본적으로 공백으로 처리되어 나타난다. >>> print(5>=5, 7) True 7 " ; " ( 세미콜론 ) print() 함수를 한 줄에 여러개 입력하고 싶을 때는 ";"를 이용해주면 된다. print(); print(); print(); 의 형태로 입력하면 된다. >>> print("python"); print(2); print(); python 2 >>> print() 함수의 기능 print() 함수는 다양한 기능을 .. 2021. 3. 30. 이전 1 2 3 4 5 6 7 ··· 9 다음